21세기 물 산업의 부가가치
블루 골드(Blue gold). ‘20세기의 검은 황금’이라 불리며 인류 발전을 이끌어온 석유에 빗대어, 그만큼 높아진 21세기 물의 가치를 상징하는 말이다. 세계적으로 도시화와 산업화, 그에 따른 인구 증가가 진행되면서 물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날로 심해지는 기후변화로 인해 양질의 물을 얻는 것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처럼 물이 우리에게 주는 가치가 상승하면서 세계 물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물 산업에 관한 최신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GWI(Global Water Intelligence)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 물 시장 규모는 약 8,034억 달러로 약 996조 원에 이른다.1) 이는 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발표한 2020년의 전 세계 반도체 매출액인 4,390억 달러에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로서, 물 산업이 제공하는 부가가치는 이미 다른 유망한 산업의 규모를 뛰어넘고 있다.
물 산업을 향한 글로벌 경쟁
미래의 신성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물 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미국과 일본, 프랑스, 네덜란드 등 물 산업 강국들은 물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육성해나가고 있다. 물 공급과 수질 정화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자국의 탄탄한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물 기업들 역시 4차 산업혁명의 산물인 최신 IT(Information Technology), NT(Nano Technology) 기술을 접목하여 기존 물 산업 영역을 뛰어넘은 ‘디지털 워터 플랫폼’의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물 산업 현황
우리 정부도 물 산업의 미래 가치를 인식하고 2010년부터 물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하는 한편, 2018년에는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약칭 물산업진흥법)을 제정하면서 본격적으로 물 산업 시장 지원에 나섰다. 우리나라 물 산업 초기에는 상하수도 기반의 사회간접시설을 중심으로 공공부문이 주도해왔다. 하지만 상·하수도 보급률이 완성기(’18년 말 상수도 99.2%, 하수도 93.9%)에 이르고2), 시장 인프라도 포화 단계에 이르면서 새로운 시장 창출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물 시장은 2018년 기준 세계 12위의 규모를 가지고 있지만, 물 관련 기술 수준은 최고 수준 대비 약 7년 뒤처진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3)
▲ ‘21세기의 블루 골드’로 불리는 물 산업은 4차산업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앞으로 물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고 물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기술집약 산업으로의 변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물 산업의 기술집약 산업으로의 변화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물 산업 통계를 살펴보면 사업체 수, 종사자 수, 수출액에 있어서 매년 약 2.3~2.7%의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는데,4) 이는 GWI가 예상한 전 세계 물 시장의 성장률인 3.4%5)에 조금 못 미치는 수치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연관되어 미래의 신성장 동력으로 볼 수 있는 ‘물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의 실적만 따져보면 2020년의 이 분야 전체 수출액은 3억 5천만 원에 불과했으며 2019년에 비해 매출은 0.2% 증가에 머물렀다.6)
우리나라 물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물 산업은 우리가 보유한 과학기술과 융합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디지털의 특성상 과학기술이 발전한 국가에서 다른 산업과의 융합이 쉽기 때문에 관련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물과 관련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들을 빠르게 발굴하고 확대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기술혁신, 인력양성, 수출 확대와 같이 물 기업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분야에 정부의 지원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물 산업 발전의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
이제 물 산업은 단순한 산업이 아니라 국민의 물 복지와 연결되는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에게는 글로벌 물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기회가 아직 열려 있다.
1) 물 산업 실태분석을 통한 국내 물 산업 진흥 추진전략 마련 연구(수자원공사, 2020)
2)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2021~2030)(관계부처 합동, 2021)
3)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기본계획(환경부, 2019)
4) 2020년 기준 물 산업 통계조사 보고서(환경부, 2022)
5) 물산업 실태분석을 통한 국내 물산업 진흥 추진전략 마련 연구(수자원공사, 2020)
6) 2020년 기준 물산업 통계조사 보고서(환경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