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통합물관리마당

통합물정보

물 기반시설 현황

주요 하천시설
  • 댐・저수지 '20년 기준 총 17,318개 댐・저수지가 총 213억㎥의 저수용량을 가지며, 용수공급(생활・공업・농업), 홍수조절, 발전 등에 활용

    < 국내 댐·저수지 시설 현황(2020년 기준) >

    국내 댐·저수지 시설 현황(2020년 기준) : 구분, 총저수량, 유효저수용량, 물공급능력, 홍수조절능력, 발전용량, 비고에 따른 총계, 다목적댐, 홍수전용댐・조절지, 농업용저수지, 발전용댐, 생공용수전용댐을 안내합니다.
    구분 총저수량
    (백만㎥)
    유효저수용량
    (백만㎥)
    물공급능력
    (백만㎥/년)
    홍수조절능력
    (백만㎥)
    발전용량
    (천kW)
    비고
    다목적댐 12,923.0 9,170.0 11,305.2 2,294.0 1,044.8 소양강댐 등 20개
    홍수전용댐・조절지 2,980.6 - - 2,981.6 - 평화의댐 등 5개
    농업용저수지 2,971.8 2,864.8 3,125.5 19.0 23.0 예당저수지 등 17,145개
    발전용댐 1,842.4 961.1 1,050.0 276.8 5,303.1 화천댐 등 21개
    생공용수전용댐 638.5 545.6 907.9 23.5 1.8 운문댐 등 127개
    총계 21,356.3 13,541.5 16,388.6 5,594.9 6,372.7 -
    • 댐 기본계획 고시물량 또는 유효저수용량 등 기준
    • 한국수자원공사(2020), 물관리 실무편람 기준이며, 안동-임하연결 효과(23.7백만㎥/년) 포함
    •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2020), 농업생산기반정비 통계연보 기준
    • 한국수력원자력(주) 수력발전레퍼런스북(2020), 유효저수량은 발전가능용량으로 산정
  • 제방 총 34,778㎞(소하천 제외)의 제방을 통해 홍수피해 방지
    • ’18년 기준 국가・지방하천 제방정비는 51.2%가 완료되였으며, 24.6%는 보강이 필요하며, 24.2%는 제방 신설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한국하천일람, 2020)

    소하천의 경우 제방정비 완료 45.5%, 제방보강 필요 26.9%, 제방신설 필요 27.6%

  • 농업용수 시설 양·배수장 8,723개에서 최대 양수 34천㎥/초, 최대 배수 52천㎥/초가 가능하며, 취입보 17,955개에서 최대 797㎥/초 이용 가능

    < 농업용 양・배수시설 현황(’18년) >

    농업용 양・배수시설 현황(’18년) : 구분, 계, 양수장, 양배수장, 배수장, 취입보에 따른 시설수(개), 최대 양(배)수량(㎥/초)을 안내합니다.
    구분 양수장 양배수장 배수장 취입보
    시설수(개) 26,678 7,485 125 1,113 17,955
    최대 양(배)수량(㎥/초) 85,232 32,934 882 50,619 797
  • 하굿둑 및 담수호 3개 하굿둑 및 22개 담수호에 총 25.3억㎥의 저수용량 확보, 40억㎥/년의 용수 공급능력 보유

    < 하굿둑 및 담수호 현황(’18년) >

    하굿둑 및 담수호 현황(’18년) : 구분, 총저수량(백만㎥), 유효저수용량(백만㎥), 물공급능력(백만㎥/년), 비고에 따른 하굿둑 및 담수호를 안내합니다.
    구분 총저수량(백만㎥) 유효저수용량(백만㎥) 물공급능력(백만㎥/년) 비고
    하굿둑 및 담수호 2,529.2 1,898.7 4,010.3 낙동강하굿둑 등 25개
    • 댐 기본계획 고시물량 또는 유효저수용량 등 기준
상수도 및 기타 물 이용 시설
  • 광역・공업, 지방상수도 '18년 기준 지방·광역 상수도 공급을 위해 취수시설 503개, 정수장 517개, 상수관로 21.7만 ㎞ 를 구축・운영 중
    • 취수시설 총 503개, 시설용량 32.9백만㎥/일이 운영중이며, 광역・공업용 상수도는 42.3%, 지방상수도 57.7%로 구성

      취수원별 취수시설 용량(’18년) : 하천수 51.8%, 댐 45.1%, 지하수 1.8% 등

    • 정수시설 총 517개, 시설용량 30.4백만㎥/일이 운영중이며, 광역・공업용 상수도는 34.0%, 지방상수도 66.0%로 구성
    • 상수관로 총 21.7만㎞ 중 광역・공업용은 2.5%, 지방상수도 97.5%로 구성

    < 광역・공업 및 지방상수도 취수시설, 정수시설, 상수관로 현황(’18년) >

    광역・공업 및 지방상수도 취수시설, 정수시설, 상수관로 현황(’18년) : 구분에 따른 광역·공업상수도, 지방상수도의 취수시설과 정수시설의 시설수(개), 시설용량(천㎥/일)을 나타내고 상수관로(㎞)를 안내합니다.
    구분 취수시설 정수시설 상수관로(㎞)
    시설수(개) 시설용량(천㎥/일) 시설수(개) 시설용량(천㎥/일)
    광역·공업상수도 29 13,916(42.3%) 71 10,346(34.0%) 5,379(2.5%)
    지방상수도 474 18,945(57.7%) 446 20,099(66.0%) 211,771(97.5%)
    503 32,861 517 30,445 217,150
  • 소규모 수도시설 도심 이외의 취약지역 중심으로 마을상수도, 소규모급수시설, 전용상수도 등을 설치・운영 중

    < 소규모 수도시설 현황(’18년) >

    소규모 수도시설 현황(’18년) : 마을상수도, 소규모급수시설, 전용상수도에 따른 시설용량(천㎥/일)과 시설수(개)를 안내하고 그에 따른 계를 안내합니다.
    구분 마을상수도 소규모급수시설 전용상수도
    시설용량(천㎥/일) 1,361(100%) 482(35.4%) 314(23.1%) 565(41.5%)
    시설수(개) 14,933(100%) 5,213(34.9%) 9,129(61.1%) 591(4.0%)
  • 지하수 ’18년 기준 지하수 시설 1,640천개에서 2,916백만㎥/년 규모의 지하수를 이용하며, 농어업용, 생활용수가 대부분을 차지

    < 용도별 지하수 시설 현황(’18년) >

    용도별 지하수 시설 현황(’18년) : 연도별, 생활용, 공업용, 농ㆍ어업용, 기타에 따른 시설수(천개), 이용량(백만㎥/년)의 계, 충적, 암반의 현황을 안내합니다.
    연도별 생활용 공업용 농ㆍ어업용 기타
    시설수(천개) 1,640 832 13 792 3
    충적 927 465 4 457 1
    암반 713 367 9 335 2
    이용량(백만㎥/년) 2,916 1,229 174 1,485 27.6
    충적 1,172 453 41 673 5.0
    암반 1,743 776 133 812 22.6
  • 해수담수화 도서지역 중심으로 소규모 102개 시설(9,242㎥/일)을 운영 중이며, 3개 지역에 산업단지용 중·대규모 시설(580천㎥/일) 구축

    < 해수담수화시설 구축・운영 현황(’18년) >

    해수담수화시설 구축・운영 현황(’18년) : 소규모(102개), 중·대규모로 나뉘며 중·대규모는 광양, 기장(미운영), 대산(건설중)로 나누고 그에 따른 용량(㎥/일)을 안내합니다.
    구분 소규모(102개) 중·대규모
    광양 기장(미운영) 대산(건설중)
    용량(㎥/일) 589,242 9,242 30,000 450,000 100,000
하수도
  • 하・폐수처리시설 ’18년 기준 공공시설은 총 4,505개(공공하수 26,165천㎥/일, 공공폐수 1,819천㎥/일)이며, 정화조 등 개인하수처리시설 2,731천개 운영 중
    • 하수관로 총 연장은 156천㎞이며, 합류식(44천㎞), 오수관로(65천㎞), 우수관로(47천㎞)로 구성

    < 하・폐수처리시설 현황(’18년) >

    하・폐수처리시설 현황(’18년) : 구분에 따른 공공하수처리시설, 공공폐수, 개인하수처리시설의 시설수(개)와 시설용량(천㎥/일)를 안내합니다. 공공하수처리시설는 하수처리장과 분뇨처리장, 개인하수처리시설은 오수와 정화조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구분 공공하수처리시설 공공폐수 개인하수처리시설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오수 정화조
    시설수(개) 4,297 4,111 186 208 490천 2,241천
    시설용량(천㎥/일) 26,165 26,124 41 1,819 - -
조사・관측 시설 및 정보시스템 현황
  • 수문조사 홍수통제소, 기상청, 수자원시설 운영 공공기관 등에서 강수량, 수위, 유량, 유사량, 토양수분량, 증발산량 관측시설 2,048개 운영

    < 수문관측시설 현황(’18년 기준, 한국수문조사연보) >

    수문관측시설 현황(’18년 기준, 한국수문조사연보) : 강수량, 수위, 유량, 유사량, 토양수분량, 증발산량에 따른 관측시설 수(개)를 안내합니다.
    구분 강수량 수위 유량 유사량 토양수분량 증발산량
    관측시설 수(개) 2,048 715 775 515 25 8 10
  • 수질 및 수생태 조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청, 시도, 공공기관 등에서 수질 측정망, 총량측정망, 자동측정망 등 6,625개 설치・운영

    < 수질관측시설 현황(’18년 기준, 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 >

    수질관측시설 현황(’18년 기준, 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 : 수질 측정망, 총량측정망(일반병행), 자동 측정망, 퇴적물 측정망, 방사성 측정망, 생물 측정망, 비점오염물질 측정망에 따른 증발산량에 따른 관측 시설수(개)를 안내합니다.
    구분 수질 측정망 총량측정망
    (일반병행)
    자동 측정망 퇴적물 측정망 방사성 측정망 생물 측정망 비점오염물질
    측정망
    관측시설 수(개) 6,625 1,936 337(106) 70 306 90 3,884 2
  • 지하수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청,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국가 측정망(관리, 오염, 농촌지하수), 지역 측정망 5,700개 설치・운영

    < 지하수 관측시설 현황(’18년 기준,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

    지하수 관측시설 현황(’18년 기준,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 국가 지하수 측정망, 지역 지하수 측정망, 보조 관측망에 따른 관측 시설수(개)를 안내합니다. 국가 지하수 측정망은 지하수관리, 지하수오염, 농촌지하수(농촌/해수)로 구분하며, 지역 지하수 측정망은 오염우려, 일반으로 구분되어 안내합니다.
    구분 국가 지하수 측정망 지역 지하수 측정망 보조 관측망
    지하수관리 지하수오염 농촌지하수
    (농촌/해수)
    오염우려 일반
    관측시설 수(개) 5,700 599 822 627(446/181) 781 1,240 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