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합검색
통합검색
통합검색
닫기
알림
닫기
KOR
ENG
사이트맵
닫기
주요메뉴
위원회소개
위원회인사말
위원회구성
목적 / 기능
조직
지원단구성
위원회CI
찾아오시는길
위원회활동
위원회활동
위원회회의결과
위원회발간자료
통합물관리협의체
위원회활동연혁
위원회활동연혁
역대위원회 명단
법령/정책
법령/정책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자료실
통합물관리마당
통합물관리란
통합물정보
물이용
물환경
물재해
물산업
물기반시설
물정보시스템
물용어 사전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정책소식
홍보자료
위원기고
참여마당
참여게시판
국민신문고
세미나 홍보
알림마당
좌측메뉴
홍보영상
카드뉴스
홍보영상
💧국가 가뭄 관리 체계는 어떻게 마련되어 있을까요?
작성일
2024-05-02
조회수
250
영상자막
국내의 가뭄은 시간이 지날수록 자주, 장기간 나타나고 있습니다. 발생주기 1973년 이후: 5~7년 주기 2012년 이후: 매년 발생빈도 1904~2000년:0.36회/년 2001~23022년:0.73회/년 발생일수 1980년대:60.3일 2010년대:63.1일 국내 가뭄으로 생활용수, 공업용수를 공급하는데 차질을 빚기도 했는데요. 그렇다면 우리나아의 국가 가뭄 관리 체계는 어떻게 마련되어 있을까요? 가뭄, 이렇게 대비합니다! 환경부는 생활용수와 공업용수,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용수, 기상청은 기상정보 산업통상자원부는 발전용수와 산업단지 등 각 분야별로 가뭄에 대비·대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지난해 '영상강·섬진강 유역 중·장기 가뭄 대책'을 심의·의결하는 등 물 관련 현안에 대해 주도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가뭄 대비 신기술도 활용되고 있는데요. 무인드론, 무인수심 측량보트 활용해 저수지의 저수량을 분석해 준설이 필요한 양을 산정합니다. 또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AI를 활용해 통합가뭄 예·경보맵을 만들고 디지털트윈을 도입하여 하천, 댐과 같은 물의 흐름과 수질 변화 등을 가상공간에서 재현해 물과 관련한 다양한 의사결정의 근거가 될 자료를 얻습니다. 기후위기 속 물관리가 중요해진 만큼 관련기관 간의 유기적이고 효율적인 대응과 스마트한 기술력으로 물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목록
위원회소개
위원회인사말
위원회구성
목적 / 기능
조직
지원단구성
위원회CI
찾아오시는길
위원회활동
위원회활동
위원회회의결과
위원회발간자료
통합물관리협의체
위원회활동연혁
위원회활동연혁
역대위원회 명단
법령/정책
법령/정책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자료실
통합물관리마당
통합물관리란
통합물정보
물이용
물환경
물재해
물산업
물기반시설
물정보시스템
물용어 사전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정책소식
홍보자료
위원기고
참여마당
참여게시판
국민신문고
세미나 홍보
위원회소개
위원회인사말
위원회구성
목적 / 기능
조직
지원단구성
위원회CI
찾아오시는길
위원회활동
위원회활동
위원회회의결과
위원회발간자료
통합물관리협의체
위원회활동연혁
위원회활동연혁
역대위원회 명단
법령/정책
법령/정책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자료실
통합물관리마당
통합물관리란
통합물정보
물이용
물환경
물재해
물산업
물기반시설
물정보시스템
물용어 사전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정책소식
홍보자료
위원기고
참여마당
참여게시판
국민신문고
세미나 홍보
공지사항
보도자료
정책소식
홍보자료
위원기고